2007년 항공회담 개최 실적
구 분 |
국 가 |
시 기 |
장 소 |
회담 결과 |
1 |
말레이시아 |
1.11-1.12 |
서울 |
ㅇ 여객 3/4 자유화 ㅇ 화물 3/4/5 자유화 ㅇ 운임신고제 전환 |
2 |
프랑스 |
1.23-1.24 |
서울 |
ㅇ 복수제 ㅇ EU clause 제한적 수용 ㅇ 여객 공급력 단계적 증대 (2010년부터 7회→10회) |
3 |
인도네시아 |
3.27-3.28 |
서울 |
ㅇ 결렬 |
4 |
카자흐스탄 |
4.10-4.11 |
아스타나 |
ㅇ 주 450⇒500석, 2009년 675석 ㅇ 복수제, 신고제, 양국 및 제3국 편명공유 |
5 |
케냐 |
4.26-4.27 |
나이로비 |
ㅇ 여객 3/4 자유화 |
6 |
그리스 |
5.2-5.3 |
아테네 |
ㅇ 여객 주 7회, 화물자유화 ㅇ 단수제 유지 |
7 |
러시아 |
5.22-23 |
서울 |
ㅇ 결렬 |
8 |
필리핀 |
5.30-5.31 |
다바오 |
ㅇ 주17회⇒19,000석(주 63회) ㅇ 주 400톤 범위내에서 화물 5자유 허용 ㅇ 지정항공사 2개 추가(4⇒6) |
9 |
브라질 |
7.5-7.6 |
리오데 자네이루 |
ㅇ 운항재개 합의 ㅇ ICAO 상호지지 ㅇ 항공회담 조속 개최 |
10 |
스리랑카 |
7.24-7.25 |
스리랑카 콜롬보 |
ㅇ 여객 3, 4자유화 ㅇ 지정항공사 복수제 ㅇ 요금 신고제, 편명공유 조항 신설 ㅇ 노선구조 자유화 |
구 분 |
국 가 |
시 기 |
장 소 |
회담 결과 |
11 |
일본 |
8.1-8.2 |
동경 |
ㅇ 여객, 화물 3/4 자유화(동경제외) ㅇ 미주 5자유 운수권 추가 확보 (3회 ⇒ 7회) ㅇ 출발지 운임제 적용 |
12 |
호주 |
8.22-8.23 |
호주 캔버라 |
ㅇ 여객 공급력 週 2,000석(7,500→9,500석) 증대 합의 ㅇ 화물 5자유 운수권 합의 ㅇ 노선 구조 자유화로 여객·화물 코드쉐어 범위 확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