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연합뉴스) 최이락 특파원 = 한국과 중국, 일본 정부가 매년 한차례 각국을 돌아가며 정기적으로 3국 정상회담을 개최키로 하고 올 가을께 첫 회담을 일본에서 개최키로 했다고 요미우리(讀賣)신문 등 일본 언론이 20일 보도했다.
후쿠다 야스오(福田康夫) 일본 총리는 21일 이명박(李明博)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내달 초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에서 이런 방안에 정식 합의할 방침이다.
아시아 지역의 중심적인 3개국이 정상회담을 정기적으로 개최함으로써 지역 문제 해결에 주도적 역할을 하는 한편 국제사회에서 아시아의 발언력을 강화시키겠다는 것이 이번 구상의 취지다.
일본에서 개최될 1차 한중일 정기 정상회담의 주요 의제와 관련해서는 ▲북핵문제 ▲중국의 황사에 따른 환경피해 ▲지적 재산권 보호 ▲한중일 투자협정 체결 등을 중심으로 각국간 조정이 이뤄지고 있다고 요미우리는 전했다.
정상회담에 앞서 필요한 사전 조정 및 협의를 위해 3개국 외무장관 회담도 일본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한중일 3국 정상회담은 1999년 당시 오부치 게이조(小淵惠三) 전 수상의 제안으로 아세안 정상회담과 함께 실시돼 왔다.
그러나 동아시아 지역의 안전보장과 환경문제 등 한중일 3국이 긴밀히 협력해야 할 과제가 증가함에 따라 지난해 11월 싱가포르에서 열린 아세안+3 정상회담에서 후쿠다 총리와 노무현(盧武鉉) 당시 대통령,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가 아세안 정상회의와 별도의 형식으로 3개국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방안에 기본적으로 합의했다.
하지만 한중일 정상회담이 개최된다고 해도 곧바로 성과가 나올 수 있을 지는 불투명한 상태다.
북핵문제에 있어서 이명박 대통령이 종전의 융화정책에서 전환해 일본과 연대하는 환경은 조성됐지만, 북한 지원에 긍정적인 중국과의 괴리가 상당하기 때문이라고 요미우리는 분석했다.
투자협정 체결 촉진 등 경제 분야에 있어서 관계 강화가 기대되고 있지만 지적재산권 보호 등 3국간 경제정책의 차이점도 적지 않아 정상회담을 위한 실무급 회담에서 각 쟁점들과 관련한 사전 조정 작업은 적지 않은 난항이 예상되고 있다.
choinal@yna.co.kr
(끝)
* 본 기사는 외교부 공식입장과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