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화면크기
  2. 국가상징
  3. 어린이·청소년
  4. RSS
  5. ENGLISH

외교부

관련자료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국제기구·지역협력체
  4. 세계무역기구(WTO)
  5. 관련자료
글자크기

[최근동향] DDA 주간 동향 (2.18~2.22)

부서명
외교부 > 다자통상국 > 세계무역기구과
작성일
2008-02-26
조회수
2298

                         DDA 주간 동향 (2.18~2.22)
                                                           

1. 총괄

   ㅇ 2.18 EU농무장관회의(브러셀) 비공식모임에서 20개국 농무장관들은 농업 수정 text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비판      
      - NAMA, 서비스, 지리적 표시(GI) 등 여타 분야에서는 진전이 부족하여 협상 전반의 균형을 잃고 있다고 지적
   ㅇ 농업·NAMA modalities 합의를 위한 각료급 회의가 3월 중순~4월초 개최될 전망이 대두      
      - 미국은 농업·NAMA modalities 관련 고위급 회의를 3.17주중 개최하여 4월 각료급 회의에 대비할 필요가 있음을 언급

2. 농업
   ㅇ 2.18-2.20간 개최된 Room E 회의에서 관세감축공식, 민감품목, 경사관세, 관세단순화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나, 별다른 진전 없음.
      - 의장은 관세감축공식 및 민감품목 관련 수정안에 제시된 수치범위 대신 범위의 중간치를 [ ]로 처리하여 논의 진전을 희망하였으나, 모든 국가들이 기존 입장을 견지
      - 경사관세 관련 직상위 구간의 관세감축율 적용에 대한 공감대 형성
      - 관세단순화는 미국, 케언즈 그룹 및 아르헨티나, 브라질 등 개도국들이 100% 단순화를 지지한 반면, G-10 및 EC는 단순화의 수량적 목표를 설정하는 방안 지지   

3. NAMA
   ㅇ 2.20-21NAMA의장 수정 text에 대한 전체대표단 회의에서 대부분의 국가들은 개도국 신축성 숫자를 공란으로 처리함으로써 향후 협상의 불확실성을 심화시켰다고 평가하고 우려를 표명
      - 선진국과 중도개도국 그룹은 계수와 신축성간 sliding scale을 고려하더라도 협상의 level of ambition을 저하하지 않는 수준에서 논의되어야 함을 강조
      - NAMA 11 개도국 그룹은 개도국 신축성은 독립적인(stand-alone) 조항이며, 기존 [ ]안의 숫자는 최소한의 수준이었는바 신축성 숫자는 추가되어야 한다는 입장 표명

4. 서비스
   ㅇ 2.22 서비스 특별이사회에서 지난 2.12 배포된 서비스 text 의장 보고서(chairman's report)에 대한 논의 진행
      - 향후 서비스 협상은1)Lamy사무총장 주재하의 각료급 시그널링 회의 개최 협의와 2) 서비스협상 그룹 의장 주재하의 서비스 text 협상으로 진행 예정

5. 규범
   ㅇ 2008.2.18~2.20간 규범 협상 회의가 개최되어, 수산보조금 및 일반보조금에 대해 논의
      - 수산보조금 전체회의에서는 의장 텍스트상의 자원관리제도가 중점적으로 논의되었는바, 동 제도의 도입 자체에 대해서는 공감대가 형성되었으나 명확화 필요성이 제기
      - 일반보조금 소규모그룹회의에서는 인도의 관세 환급 관련 제안서에 대해 논의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지역경제기구과
전화
02-2100-76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