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화면크기
  2. 국가상징
  3. 어린이·청소년
  4. RSS
  5. ENGLISH

외교부

홍보자료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개발협력
  4. 개발협력정책 및 현황
  5. 홍보자료
글자크기

[보도자료] 제5차 한-인도네시아 공적개발원조(ODA) 통합 정책협의 결과

작성일
2021-11-24
조회수
2544

제5차 한-인도네시아 공적개발원조(ODA) 통합 정책협의 결과

   EDCF 차관 지원한도 5년간 6억불→15억불로 증액 추진

   K-뉴딜·대형 인프라 분야 국내기업 진출 지원사업 22건 발굴


□ 한국-인도네시아 양국 정부는 ‘21.11.24(수) 「제5차 한-인도네시아 ODA 통합 정책협의* 화상으로 개최하여,

     ※ 동남아 ODA 중점협력국들(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미얀마, 캄보디아, 라오스)과의 경제 협력 및 유상 및 무상원조 실시 및 연계 강화를 위한 협의체

  ◦ 양국 간의 중장기 ODA 정책방향과 EDCF* 기본약정** 갱신, 중기 EDCF 지원 후보사업 발굴, 무상원조 협력방안 등을 중점 논의하였습니다.

    대외경제협력기금(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 한국  기업의 사업 참여를 원칙으로 도국의 경제·사회 인프라 개발사업을 지원하는 장기저리의 차관 지원기금

   ** 기본약정(Framework Arrangement, F/A) : EDCF 지원 약정기간 및 한도액을 사전에 설정하여, 기간·한도 내 승인된 사업은 별도 약정 체결 없이 신속 지원 가능토록 합의한 조약

  

< 양국 대표단 >

(한국) 기재부 이종화 개발금융국장(수석대표), 외교부, 국무조정실, 국토교통부, 환경부, 주인도네시아대사관, 수출입은행, 국제협력단, 수자원공사, 녹색기술센터, 환경산업기술원, 해외건설협회, 한국농어촌공사, 농촌경제연구원,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국가철도공단, 국토정보공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등 ODA 사업 관계기관 등 


* (인도네시아국가개발기획부 슈나이더 시아한 차관(수석대표), 재무부, 공공사업주택부, 교통부, 에너지광물자원부, 인프라금융공사, 외교부 등 


□ 기획재정부 이종화 개발금융국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ㅇ “인도네시아에 대한 유·무상 ODA는 양국의 굳건한 우호 관계를 바탕으로 ’87년 이래 지속 확대되어 누적 7.6억 불(’20년 말 지출액 기준)에 이르렀다”라고 강조하며,


 ㅇ “향후에도 한국 정부와 기업 팀 코리아(Team Korea)로서 역량을 모아 인도네시아의 코로나19 대응 지속가능한 발전을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 EDCF 기본약정 증액 갱신 추진 >


□ 양국 정부는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기본약정에 따른 EDCF 차관 지원한도액을 기존  16~21년 간 6억 불에서 향후 5년 간(22~26년) 15억 불로 대폭 증액 갱신하기로 하였습니다.


 ㅇ 기존 EDCF 기본약정이 올해 만료되어 인도네시아 정부가 차관 지원한도 증액 갱신 요청하였고,


 ㅇ 기획재정부는 인도네시아가 신남방 중점협력국가로서 경협 잠재력이 풍부하고, 양국 간 그린·디지털, 보건 분야의 ODA 협력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점, 대형 인프라 개발협력 수요* 등을 고려하여 증액 추진하기로 하였습니다.


  * 인도네시아 정부는 신수도 이전 정책·지역균형 개발정책 등을 추진하며, 교통·물류 활성화를 위한 대규모 인프라 투자 사업을 추진 중


 ㅇ 향후 양국 정부는 EDCF 기본약정 문안 협의 등을 통해 동 약정 조속히 갱신 체결되도록 협력 계획입니다.


< EDCF 차관지원 후보사업 발굴 >


□ 이번 협의를 통해 우리 정부는 한국판 뉴딜 및 대형 인프라 분야에 국내 기업 인도네시아 진출을 지원하는 EDCF 차관 지원 후보사업 22을 발굴하였습니다.


 ① 대표 사업으로서, 디지털 뉴딜 분야 ‘정부통합데이터센터 구축사업’은 22년부터 4년간 총사업비 1.8억 불 투자하여 인도네시아 수도 이전 정책 관련 우리 전자정부 시스템을 공유할 예정으로,


  - 우수한 국내 ICT 기업이 참여하여 인도네시아 新수도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② 그린 뉴딜 분야 ‘자카르타 전기차 인프라 구축사업’은 23년부터 3년간 총사업비 1.2억 불 규모 투자를 통해 자카르타 전역에 전기차 충전인프라를 구축하여,


  - 인도네시아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전기차 확산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우리 전기차 기업의 해외진출 확대 교두보가 될 전망입니다.


 ③ 민관협력사업(PPP)으로 추진하는 ‘바탐섬-빈탄섬 간 해상교량사업’은 23년부터 4년간 총사업비 6.1억 불 투자하여, 싱가포르 해협 4개섬* 간 해상교량을 건설하여,


   * 바탐섬(Batam), 탐중사움섬(Tanjung Sauhm), 부아우섬(Buau), 빈탄섬(Bintam)

  교통·물류  해상관광 활성화에 기여하는 한편, 국내 연관 기술기업의 해외 진출 확대 마중물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무상 ODA 협력 강화 >


□ 정부는 ODA 중점협력국인 인도네시아 대상으로 2021년 현재 16개 기관이 시행 중인 54개, 약 3천 5백만 불 규모의 무상 ODA 사업 협력을 강화해나갈 계획입니다.


ㅇ 신남방지역 중점 보건협력국인 인도네시아에 대해 「포괄적 지원 프로그램(COVID-19 Comprehensive Assistance Program)*」을 통해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다방면의 사업을 실시하고 인도적 지원도 지속할 예정입니다.


   * (‘20년) 거점병원 지원, 전문인력 역량강화, 민간/시민사회 협력 등 5백만불 지원 
(’21년) 감염병 국가 대응체계 구축, 의료진 역량 강화,  민간/시민사회 협력 등 4백만불 지원 중


ㅇ 아울러, 향후 우리 정부의 주요 ODA 전략인 「그린뉴딜 ODA」 및 「과학기술·ICT ODA」 관련한 무상사업도 기존의 對인도네시아 협력전략과 연계하여 적극 발굴 추진합니다.


ㅇ 한편, 올해 6월 양국 외교장관 간 체결된 삼각협력 양해각서(MOU)*의 후속조치 차원에서 제3국에서의 삼각사업 발굴 추진에 대해서도 논의했습니다. 


   * 한국-인도네시아 삼각협력에 대한 양해각서(‘21.6월): 제3국에서의 공동협력 분야 및 협력 방안 발굴을 위해 양국 외교부간 양해각서 체결


□ 정부는 이번 인도네시아 ODA 정책협의에 이어 내년초 캄보디아 등 신남방국가와 정책협의를 추진하며,


 ㅇ 코로나19 긴급대응 지원 국내 기업의 그린·디지털 뉴딜 분야 해외 진출사업 발굴 등을 지속 추진해 나갈 계획입니다.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개발전략·민간협력과
전화
02-2100-69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