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화면크기
  2. 국가상징
  3. 어린이·청소년
  4. RSS
  5. ENGLISH

외교부

활동현황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환경
  4. 기후변화·환경
  5. 활동현황
글자크기

우리부 주최 "제7차 기후변화 및 지속가능개발 국제회의" 결과

부서명
외교부 > 국제경제국
작성일
2007-07-23
조회수
1841

 

   우리부는 7.20(금) 서울에서 기후변화 관련 주요 국제기구와 연구소, EU 등 주요국의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제7차 기후변 화 및 지속가능개발 국제회의”를 개최함.

 

1. 회의 개요

 

   ㅇ 참석자

        -  기후변화 관련 국제기구(UNFCCC, IPCC), 국내외 연구소(CCAP, Wuppertal, 한국환경평가연구원 등)

        -   EU, 영국, 미국, 일본, 중국 등  주요국 관계관

        -   우리 시민사회, 학계, 업계, 주한 외교단 등 약 250명 방청

           ※ 개회사 : 한승수 UN 기후변화특사, 조태열 통상교섭조정관

 

   ㅇ 주요 의제

        -   기후변화의 도전과 대응, Post-2012 체제 주요 요인, 탄소시장의 
잠재력

 

2. 주요 논의결과

 

   ㅇ 기후변화의 도전

        -   금년 상반기 발표된 기후변화정부간패널(IPCC) 제4차 보고서의 내용 설명 (기후 변화의 과학적 측면, 적응 및 완화)

        -   한국의 기후변화 영향 및 적응 대책 소개

 

   ㅇ Post-2012 체제의 주요 요인

        -   Post-2012 협상 동향 및 쟁점사항 설명

        -   주요 산업분야별 온실가스 저감 방안 및 국제적인 논의 동향 분석

 

   ㅇ 기후변화 대응 노력

        -   EU, 미국, 일본, 중국의 기후변화 대응 정책 설명

        -   우리는 기후변화 대응 정부종합대책 소개

 

   ㅇ 탄소시장의 잠재력

        -   EU의 배출권 거래제 현황 및 향후 계획 설명

        -   탄소시장의 향후 동향 전망 및 Post-2012 체제에 미치는 영향

 

3. 관찰 및 평가

 

   ㅇ  기후변화가 국제무대의 주요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시점에 개최된 금번 회의 에서  최근  국제적 논의 동향과 주요국 정책 등을 시의 적절하게  소개함으로써 국민인식 제고 및 기후변화 대응 제고를 위한 공감대 형성에 기여

         -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저탄소 사회로 전환을 통해 새로운  경제적 기회 창출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기후변화외교과/녹색환경외교과
전화
02-2100-7993/02-2100-77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