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화면크기
  2. 국가상징
  3. 어린이·청소년
  4. RSS
  5. ENGLISH

외교부

활동현황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환경
  4. 기후변화·환경
  5. 활동현황
글자크기

제11차 유엔지속가능발전위원회(CSD)회의결과

부서명
외교부 > 국제경제국 > 환경협력과
작성일
2003-05-16
조회수
2426

제11차 유엔지속가능발전위원회(CSD) 결과

 

1. 회의 개요

  • 기간 및 장소 : 4.28-5.9(4.28-30간 각료급 고위회의) 뉴욕
  • 참가 현황 : 191개 유엔회원국, 국제기구 및 민간단체 대표 등

        -   한국은 한명숙 환경부장관을 수석대표로 외교부, 환경부, 해수부, 지속가능발전위원회 등
             총16명이 정부대표로 참석

  • 주요 의제 : 지속가능발전 세계정상회의(WSSD) 결과 이행 및 2004년 이후 CSD 운영방안

 

2. 주요 회의결과

 

  가. 유엔 CSD 역할

  • 유엔체제내 WSSD 결과 이행 및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중심기구로 활동

 

  나. CSD 회의 개최방안

  • 2004년부터 2년 주기로 CSD 회의 개최

        -   1차 년도(Review Year) : WSSD 결과이행 검토

        -   2차 년도(Policy Year) : 검토결과에 따른 대응방안 협상

  • CSD 검토회의 전에 지역회의를 개최하고, 정책회의 기간 중 협상에 대비한 사전준비회의 개최

 

  다. 주기별 의제선정(2004-2017년)

  • 2004/5 : 물·위생, 인간정주(human settlements)
  • 2006/7 : 에너지, 산업개발, 대기 및 대기오염
  • 2008/9 : 농업·농촌개발 및 토지, 가뭄 및 사막화, 아프리카
  • 2010/11 : 교통, 화학물질, 폐기물관리, 광업, 지속가능한 소비·생산패턴 10개년 프로그램체제
  • 2012/13 : 산림·산지, 생물다양성·생명공학, 관광
  • 2014/15 : 해양·바다, 해양자원, 도서개도국(SIDS), 재난관리
  • 2016/17 : 의제21 및 WSSD 이행계획에 대한 전반적인 이행평가

 

  라. 국가별 이행보고(National Reporting)

  • WSSD 결과 이행 등 각국의 이행상황을 주기별 의제에 초점을 맞추어 자발적으로 실시키로 결정
  • CSD 사무국으로 하여금 국가보고서 작성지침을 개선토록 요청

 

  마. 기타

  • 경제사회이사회(ECOSOC)에 주요그룹 및 NGO들의 신속한 등록이 이루어질 것을 요청
  • 새로운 파트너쉽 사업 선정기준 및 세부 운영지침 작성

 

2. 평가

  • WSSD 이행점검을 위한 향후 CSD 운영방안과 14년간의 논의주제를 확정함으로써 각 국가와 국제사회에 예측가능성을 제공
  • 우리 대표단은 우리나라의 지속가능발전 노력을 소개하고, CSD 운영방안 및 의제선정에 우리입장 반영

 

3. 향후 대책

  •  내년도 CSD 점검회의 및 지역회의 준비를 위해 물 관련 이행상황 점검
  •  에너지, 지속가능한 생산 및 소비패턴 등 향후 논의 이슈에 대한 중장기 대책 수립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기후변화외교과/녹색환경외교과
전화
02-2100-7993/02-2100-7751